생활정보 꿀팁

59m2 몇평 일까? 49m2 84m2 전용면적 공급면적 차이

벨류업 2023. 8. 8. 15:48

부동산에서 면적, 공간의 크기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한 개념이다. 하지만 2007년 법정개량 단위 의무화 이후 공식적으로 평 대신 전용면적을 제곱미터 m2로 표기해야 하므로, 되어 일상에서 이야기 하는 공급면적의 기준인 평형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는 59m2를 25평형이라고 말하는 수수께끼 같은 이야기를 풀어줄 기준을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제곱미터(m2)를 평으로 계산하는 방법
  2. 공급면적, 전용면적, 평형의 차이
  3. 주거 환경을 고려한 평형 선택 기준

 

제곱미터(m2)를 평으로 계산하는 방법

59m2는 명평 일까? 환산단위는 1평은 대략 3.3m2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59m2를 평으로 환산하면 약 17.88평이 됩니다.

 

59 제곱미터 / 3.3 = 약 17.8평

 

여기서 궁금한 점은 59m2는 약18평인데, 종종 25평형이라는 말을 듣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서로 다른 기준을 갖고 이야기하는 것이므로 이를 구분하는데 필요한 공급면적, 전용면적, 서비스 면적에 대해 좀더 알아보겠습니다.

 

공급면적, 전용면적, 평형의 차이

아파트는 현관문 안의 전용공간과 이외 계단, 복도,엘레베이터 등 건물 안에서 여러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용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급면적 = 전용면적 + 공용면적

 

49m2, 59m2, 84m2 등은 전용면적을 기준으로,평형은 공용면적을 기준으로 이야기 하는 것으로 서로 같은 기준인 제곱미터 단위로 소통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59m2의 평수는 18평이고, 공급면적 기준으로 25평형이라고 한다. 하지만 전용면적인 제곱미터 단위로 소통하는 것이 서로 오해가 생기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전용면적 평수(계산) 공급면적(약) 평형 실내 구조
49m2 약15평 70m2 21평형 방2, 화장실 1, 주방겸 거실 1
59m2 약18평 84m2 25평형 방3, 화장실 2, 주방1, 거실1
84m2 약25평 110m2 33평형 방3이상, 화장실2, 주방1, 거실1

 

 

주거 환경을 고려한 평형 선택 기준

집이라는 공간은 넓으면 넓을수록 좋지만, 자신의 환경에 맞춰서 합리적인 기준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1인가구로 집이 잠만 자는 공간으로 생각한다면 방1개 화장실 1개만 있어도 충분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20번 넘게 이사하고 살아보면서 집이란 공간은 편안하고 안전한 공간이어야 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자신의 활동 반경에서 여러가지 개인적이 차이는 있겠지만, 집을 구할때 적절한 면적이나 구조에 대해 개인적인 의견을 이야기 하겠습니다.

 

1인 가구, 분리된 주방, 화장실, 원룸보다는 가능한 투룸, 다용도실 별도 있는 곳을 30~49m2 이상 추천합니다.

1~2인 가구, 방2~3개, 화장실 2개인 이상 곳, 남향>남동향>남서향, 상가 적은 주거지역, 49~59m2 이상 추천합니다.

3인 이상가구, 방3개 이상, 남향>남동향>남서향, 직장과 가능한 30분이내 주거 전용지역, 신도시, 70m2 이상 추천합니다.

 

위의 조건은 주거 환경을 고려한 거주를 위한 곳을 고를때 고려할 사항으로, 매매 할때는 실제로 집을 소유한 여러 지인들과 상의하길 바랍니다.